안녕하세요, 볼링을 취미로 하시는 여러분~~ 저도 심각하게 볼링에 빠진 볼링 동호인입니다.
볼은 계속 나오고, 나올때 마다 최고의 성능이라고 하면서 볼 교체를 유도하는데요 ㅎㅎ
그런데, 도대체 어떤 볼을 사야 나에게 맞을까요?
제일 좋은 볼이라고 비싼 볼을 샀는데 너무 돌아서 사용도 못하고, 또 어떤 때는 너무 끝에서 까불어서 맘에 안드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볼링공의 핵심 성능 요소 중 하나인 RG(Radius of Gyration, 관성 반경)에 대해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볼을 선택할 때, 코어의 RG 값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이해하면 더욱 전략적인 볼 선택이 가능합니다.
Table Of Contents
볼링공의 RG(Radius of Gyration)란 무엇인가요?
RG (관성 반경)은 볼이 회전을 시작하려 할 때,
얼마나 쉽게 또는 어렵게 회전이 시작되는지를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간단히 말하면,
- 낮은 RG → 회전 시작이 빠름 → 볼이 조기에 반응
- 높은 RG → 회전 시작이 느림 → 볼이 후반에 반응
좀 더 쉽게 설명하면 볼링공의 코어에서 무게 중심이 공의 외피에 가까우면 RG가 커지고 어렵게 회전하게 됩니다.
하지만, 볼의 중심에 무게가 쏠려 있으면 쉽게 회전할 수 있습니다.
볼링공의 회전축과 RG 측정법 – X, Y, Z축
볼링공 내부에는 웨이트 블록(Core)이 존재하며, 이 코어는 3개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합니다.
항목 | 설명 |
X축 | 최소 RG 축 (회전 반경이 가장 작음) |
Y축 | 최대 RG 축 (회전 반경이 가장 큼) |
Z축 | 중간 RG 축 (불안정한 회전축) |
이 회전축을 설정하고 DTerminator라는 기계에 넣으면 내부에서 공을 회전시켜 회전속도, 가속도, 중력영향을 고려하여 RG 값이 계산됩니다.
RG 수치 계산
결론적으로 볼링공의 코어와 질량에 따라 계산이 되는 것은 다음의 물리 공식을 따릅니다.
RG = √(I / m)
- I = 질량 관성 모멘트 (Mass Moment of Inertia)
- m = 볼의 질량
간단히 말하면:
- 질량이 중심으로 가까울수록 → I가 작아지고 → RG가 낮아짐
- 질량이 바깥쪽에 몰려 있을수록 → I가 커지고 → RG가 높아짐
(※ DeTerminator 같은 장비는 이 복잡한 계산을 자동으로 처리해줍니다.)
결론적으로 아래와 같은 값이 나오는데, 여기서 RG 최소값(X축)이 볼링공 스펙에 나타나는 RG 값입니다.
그리고, 이 값이 초기 회전 반응을 보여주는 가장 중요한 수치입니다.
항목 | 설명 |
RG 최소값(X축) | 볼이 가장 빨리 회전하려는 축 (낮은 RG) |
RG 최대값(Y축) | 볼이 가장 늦게 회전하려는 축 (높은 RG) |
RG 편차 | RG 최대값 - RG 최소값 (Flare 가능성 판단) |
그래서, 볼이 빨리 반응하기를 원하는 스피드가 빠르신 분들은 낮은 RG 값을 사용하는 게 좋습니다.
USBC의 볼링공 스펙 규정
usbc의 볼링공 스펙 규정을 찾아보면 2.447 ~ 2.813 까지의 RG가 허용됩니다. 즉, 가장 낮은 값은 2.447 일 것 같습니다.
대부분의 볼링공들에서 하이퍼포먼스 볼들은 2.45 ~ 2.53 정도에 분포해 있는 것 같습니다.
그 이상의 값은 조금 높은 편이라고 보면 될 것 같고 2.6 이상이 RG가 아주 높은 편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참고자료:
https://bowl.com/getmedia/08ef148d-c0e4-4e00-9e0d-855ba4729ad5/equipment-specs-manual.pdf
📊 RG 편차란?
RG 편차 = 최대 RG 값 - 최소 RG 값
이 값은 코어의 비대칭성 정도를 나타내며, 플레어나 방향 전환 능력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 X축 RG = 2.500
- Y축 RG = 2.545
▶ RG 편차 = 0.045
이 값이 크면 백엔드 반응이 강하게 들어올 수 있고, 플레어가 커져서 오일을 이기는 힘이 더 좋다고 볼 수 있습니다.
플레어가 커진다는 것은 한번 회전했던 면이 다시 볼링 레인과 만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RG 편차(RG Diff) 기준
- 가용 범위: .01 - .08
- 낮은 편차: .01 - .025 (Low Flare Potential)
- 중간 편차: .026 - .05 (Med. Flare Potential)
- 큰 편차: .051 - .08 (High Flare Potential)

※ 허용되는 최대 RG 편차는 0.080입니다. (USBC 기준)
하지만, 대부분 볼링공에서 0.060을 넘는 볼은 생산되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참고자료: https://www.bowling.com/bowling-blog/bowling-terms-2/rg-values-and-their-meanings/
📌 RG와 RG 편차 정리
- RG 값이 낮을수록(2.45에 가까울 수록) 볼은 더 빨리 반응하며 미들에서 훅이 형성됩니다.
- 주로 하이퍼포먼스 등급
- RG 값이 높을수록(2.60 이상) 더 길게 가다가 후반에 강하게 방향을 바꿉니다.
- 주로 엔트리 등급
- RG 편차는 볼의 플레어와 백엔드 반응 강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
- 0.50 이상이면 큰 값
볼을 고르실 때 RG 수치를 참고하시면,
자신의 투구 스타일이나 레인 상태에 더욱 잘 맞는 볼을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생활&취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덤리스 / 투핸드 볼링을 위한 지공 - 스톰 2LS 레이아웃 시스템 완벽 분석 (이해하기 쉽게 설명) (1) | 2025.04.23 |
---|---|
볼링 엄지 타이밍 맞추는 지공법과 집에서 엄지 교체하기 - 스위치, IT, 오발 덤 (39) | 2024.07.13 |
볼링 공의 성능을 100% 활용하는 PAP 측정법 - 전문 도구 없이 반창고만 가지고 PAP 찾기 (24) | 2024.06.29 |
은평 롯데몰 롯데시네마에서 인사이드 아웃 2보고 즐기는 방법 ( 주차, 포토카드, 문화누리 카드 할인) (3) | 2024.06.24 |
픽사(Pixar)가 만들고 디즈니가 배급한 명작 [ 인사이드 아웃2 ] 영화 감상 후기 - 직장인과 가장의 시선에서 (3) | 2024.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