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볼링을 좋아하는 DIY하는 다이 볼러입니다.
최근 투핸드 볼러, 노 썸 볼러의 수가 정말 많이 늘었죠? 스톰(Storm)에서는 이러한 추세에 맞춰 투핸드 덤리스 볼러만을 위한 혁신적인 볼링공 레이아웃 시스템, 2LS (Two-Handed Layout System) 을 3년 전에 선보였습니다.
오늘은 스톰의 연구 개발 매니저 알렉스 호스킨스가 소개하는 2LS 시스템의 핵심 내용을 쉽고 자세하게 풀어드리려고 합니다.
덤리스/투핸드 볼러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정보이니, 천천히 읽다보면 이해가 가고 볼링 점수도 늘고 1석 2조가 될 거에요!
Table Of Contents
왜 새로운 레이아웃 시스템이 필요할까요?
가장 큰 이유는 바로 밸런스 홀 규정 변경 때문입니다. 이전에는 투핸드 볼러들이 밸런스 홀을 전략적으로 뚫어 볼의 다이나믹한 액션을 조절할 수 있었지만, 3년전 부터 두 개의 핑거 홀만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손가락을 넣지 않는 다른 구멍은 볼링 공에 뚫을 수 없게 되었습니다.
기존의 원핸드 볼러를 위한 드릴링 방식은 핑거 홀이 핀에 가깝게 위치하는 경향이 있어, 투핸드나 덤리스 볼러에게는 볼의 역동성(다이나믹스)을 오히려 감소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밸런스 홀 없이 두 개의 핑거 홀만으로는 이전처럼 역동성을 원하는 대로 조절하기 어려워진 것이죠.
자세히 들어가면 조금 더 복잡한데, 간단하게 설명드리면 아래와 같이 이전에 볼링공의 액션을 역동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해서 투핸드나 덤리스 볼러들은 3핑거 볼러의 엄지 근처나 적절한 위치에 아래 사진처럼 밸런스 홀을 뚫었었습니다.
이렇게 밸런스 홀을 뚫음으로써 3핑거 볼러들이 지공했을때 볼링공이 더 역동적(다이나믹스)으로 움직이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스톰에서는 늘어나는 투핸드 볼러들이 볼의 고유한 역동석과 에너지를 최대한 유지하면서 자신에게 맞는 볼 모션을 만들 수 있도록 2LS 시스템을 개발하게 된 것입니다.
그런데, 제가 보기에는 사실상 기존의 VLS나 듀얼앵글 레이아웃을 기반으로 아주 약간 수정해서 있어보이게 잘 꾸민 레이아웃 시스템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스톰이 잘 했다고 생각하는 것은, 투핸드나 덤리스 볼러들에게 인기가 있을 만한 새로운 레이아웃 시스템을 만들었고 약간 변경했더라도 기술적으로 고민은 많이 한 것이 느껴지기 때문입니다.
하고 싶은 이야기는 완전히 다른 시스템이나 그런것은 전혀 아니고 기존의 듀얼앵글 레이아웃이나 VLS를 기반으로 생각하시면 어렵지 않다는 것입니다.
2LS 시스템, 무엇이 다를까요? 핵심 개념 파악하기!
2LS 시스템은 기존의 레이아웃 방식과는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을 가집니다.
간단하게 기존의 VLS 레이아웃으로 3핑거를 뚫는다고 가정하고, 이를 그대로 적용하면 아래 그림의 오른쪽 처럼 중약지는 그대로 두고 엄지만 안 뚫게 됩니다. 이러면 안된다는 것입니다.
이유를 간략하게 말씀드리면 핀 상단에 중약지가 뚫려서 핀 상단의 질량이 빠지고 이에 따라서 공의 성능이 약해집니다.
자세한 것은 뒤에 더 상세히 설명드릴께요.
1. 파지 중심점 (Center of Grip) 측정 기준의 변화
- 기본 개념은 기존의 3핑거 볼러의 레이아웃(듀얼앵글 또는 VLS)으로 레이아웃을 잡은 후에 중약지 지점만 뚫고 엄지를 안뚫게 되면 공의 액션이 약해진다는 것입니다.
- 기존 (원핸드): 그립의 중앙 (엄지손가락과 중약지 사이)
- 2LS (투핸드): 브릿지의 중앙 (두 핑거 홀 사이의 중앙)
- 아래 사진처럼 2핸드나 덤리스 볼러는 그립센터(그립의 중앙: COG-Center Of Grip)가 바로 중약지 홀을 뚫는 지점이 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 중요 포인트: 2LS에서는 브릿지 중앙을 기준으로 PAP (Positive Axis Point, 볼이 회전하는 축)를 측정합니다. 이는 질량 중심 제거의 중심과 일치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합니다. 즉, 질량이 제거되는 부분을 기존의 3핑거에서는 중약지 질량이 빠지고 엄지 질량이 빠집니다. 그렇기 때문에 COG에서의 질량은 그 양쪽의 질량이 빠진 만큼의 편차가 생기게 됩니다. 그런데,여기서 엄지를 안 뚫으면 위쪽 질량만 빠지기 때문에 볼의 편차가 줄어서 성능이 약해지는 것입니다. 그래서, 결론적으로 COG에서 중약지를 뚫으면 편차기 이 중약지 뚫린만큼 더 생길 수 있습니다.
2. 레이아웃 표기 방식의 차별화
- 기존의 핀 버퍼 레이아웃과 동일한 세 개의 숫자를 사용하지만, 2LS 시스템으로 작업한 볼은 마지막에 "-2LS" 를 붙여 명확하게 구분합니다. (예: 5 x 4 x 4 - 2LS)
- 이유는 마지막의 숫자가 기존 VLS의 핀 버퍼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3. 5개의 아크 (Arc)를 활용한 정밀한 설계
- 기존 핀 버퍼 시스템은 3개의 아크 및 거리를 사용했지만, 2LS 시스템은 5개의 아크를 사용하여 웨이트 블록의 방향을 PAP에 더욱 정확하게 맞춥니다. 이는 핀과 PSA (Preferred Spin Axis:선호하는 회전축, MB:매스바이어스)의 관계를 정밀하게 설정하여 투핸드 볼러에게 최적화된 볼 모션을 제공할 수 있다고 합니다.
- 2LS를 정확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볼러의 PAP가 정확하고 일관된 투구를 할 수 있어야 하는것이 첫번째입니다. 그러면, 2LS를 이용해서 더 정밀한 지공 레이아웃을 가져갈 수 있습니다.
하지만, 2LS가 어려우신 분들은 VLS로 레이아웃 하고 COG에 중약지를 뚫으셔도 어느 정도 원하는 레이아웃으로 지공을 하실 수 있습니다.
2LS 시스템의 5가지 핵심 아크 (Arc) 완벽 분석!
이제 2LS 시스템을 구성하는 5개의 아크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핀 to PAP 거리 (Pin to PAP Distance)
- 기존 핀 버퍼 시스템(VLS)과 동일합니다.
- 핀에서 PAP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며, 0 ~ 6 3/4 인치 범위에서 조절 가능합니다.
- 중간 값인 3 3/8 인치일 때 가장 큰 플레어 (Flare, 볼이 회전하면서 오일 패턴을 벗어나는 정도)를 생성합니다.
- 거리가 짧을수록: 볼이 좀 더 일찍 구르고 전체적으로 부드러운 움직임을 보입니다.
- 거리가 길수록: 볼이 레인 끝에서 더 강하게 방향 전환을 합니다.
2. PSA to PAP 거리 (PSA to PAP Distance)
- 이 역시 기존 핀 버퍼 시스템(VLS)과 동일합니다.
- PSA(MB)에서 PAP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며, 0 ~ 6 3/4 인치 범위에서 조절 가능합니다.
- 비대칭 코어: 플레어 및 전체적인 볼 모션에 영향을 미칩니다.
- 대칭 코어: 정적 불균형 (Static Imbalance)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거리가 짧으면 CG (Center of Gravity, 무게 중심)가 바깥쪽으로 이동하여 포지티브 사이드 웨이트가 증가할 수 있으며, 거리가 길면 CG가 그립 중심으로 이동합니다.
실제적으로 대칭코어에서는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되는데, 조금이라도 의미가 있다면, 2인치 이하의 경우 CG가 멀어져 아주 약간의 포지티브 사이드 웨이트 증가로 불균형으로 인해 렝스(스키드)를 길게하고 끝에서 조금이라도 더 치고 들어오게 한다는 느낌을 주는 정도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대칭코어에서는 PSA - PAP 거리는 크게 신경 안쓰셔도 됩니다. ^^
3. 핀 - 그립센터 거리 ( Pin to COG: Center of Grip )
- 2LS 시스템에서 새롭게 도입된 중요한 호입니다.
- 핀에서 브릿지 중앙 (파지 중심) 까지의 거리를 나타냅니다.
- 오른손 볼러 기준으로 볼의 왼쪽에 그려집니다. (왼손 볼러는 오른쪽)
- 안전 범위는 대략 -1 ~ 6 3/4 인치입니다.
- 이 아크의 거리는 드릴링 후의 총 디퍼런셜 (Total Differential) 변화량을 조절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 거리가 길수록 (최대 6 3/4 인치): 볼의 총 디퍼런셜이 증가하여 역동성(다이나믹스)이 높아집니다.
- 거리가 짧을수록 (3, 2, 1, 음수 -1): 볼의 총 디퍼런셜이 감소하여 역동성(다이나믹스)이 낮아집니다.
- 핑거 홀의 위치를 핀과 관련하여 조절함으로써 디퍼런셜 변화량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습니다.
잠깐! 디퍼런셜 변화량 그래프 이해하기
- 가로축: 핀에서 홀까지의 거리 (0 ~ 6.5 인치)
- 세로축: 총 디퍼런셜 변화량 (중앙 0 기준, 위로 갈수록 증가, 아래로 갈수록 감소)
- 선 색깔: 홀의 깊이 (검정: 1인치, 노랑: 2인치, 빨강: 3인치, 주황: 4인치)
그래프를 통해 알 수 있는 중요한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3 3/8 인치 지점에서는 홀의 깊이에 상관없이 디퍼런셜 변화가 거의 없습니다. 이는 핀과 PSA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홀이 위치해서, 핀과 PSA의 중간 지점에 뚫린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디퍼런셜의 변화를 주지 못합니다.
- 핀에서 멀어질수록 (3 3/8 인치 초과), 홀 깊이에 상관없이 총 디퍼런셜이 증가합니다.
- 핀에 가까워질수록 (3 3/8 인치 미만), 총 디퍼런셜이 감소합니다.
- 홀의 깊이가 깊어질수록, 동일한 거리에서 디퍼런셜 변화폭이 더 커집니다.
제공된 그래프는 핀에서 홀까지의 거리와 홀 깊이에 따른 총 디퍼런셜 변화량을 보여줍니다.
3 3/8인치 이하의 거리에 뚫는 것은 3핑거로 비교하면 핀다운 지공과 유사하다고 보시면되고,
그 이상의 거리를 두는 것은 핀업 지공과 유사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핀 다운 지공보다는 핀업 지공이 공의 코어의 역동성(다이나믹스)을 키우는데 좋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핀업지공을 선호하고 추천합니다.
결론적으로 2LS에서 볼의 임팩트를 키우기 위해서는 핑거홀(중약지홀)은 4인치까지 깊게 뚫고 핀에서 홀까지의 거리는 3 3/8 인치 초과 것이 좋습니다.
4. 라이트닝 아크 (Lightning Arc)
- 2LS 시스템의 새로 도입된 아크입니다.
- Pin to PAP 거리와 Pin to COG(그립센터)간의 최소 거리 차이를 알려줍니다.
- 라이트닝 아크 차트를 사용하여 PAP 좌표에 따라 결정됩니다.
- 첫 번째와 두 번째 아크의 교차점 (PAP)에서 시작하여 세 번째 아크 (Pin to COG)를 가로지르는 아크가 생성됩니다.
라이트닝 아크(Lightning Arc) 차트 다운로드 및 활용법
아래 라이트닝 아크 차트를 첨부하였으니 다운 받으셔서 자세히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
차트의 가로축은 PAP의 수평 좌표, 세로축은 PAP의 수직 좌표를 나타냅니다. 볼러의 PAP 좌표에 해당하는 지점을 찾아 라이트닝 아크 거리를 확인하면 됩니다. 수직 좌표는 위, 아래 방향 모두 동일한 값을 사용합니다.
5. 버티컬 PAP 아크(Vertical PAP Arc)
- 2LS 에만 있는 마지막 아크입니다.
- 볼러의 수직 PAP 측정값을 사용하여 결정됩니다.
- PAP에서 시작하여 수직 PAP 측정값만큼 반대 방향으로 아크를 그립니다. (예: 5 over, 1 down PAP의 경우, PAP에서 1 inch 위로 아크를 그림)
- 이 아크는 PAP를 파지 중심과 정확하게 정렬하고, 다음 단계인 미드라인 (Midline)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미드라인과 센터라인 그리기
미드라인 (Midline)
- Pin to COG(핀 - 파지 중심 거리)와 라이트닝 아크의 교차점을 통과합니다.
- 버티컬 PAP 아크 (수직 PAP 아크)에 접선으로 그려집니다.
- 이 선은 투핸드 노 썸 볼러의 정확한 파지 중심을 나타냅니다.
센터라인 (Center Line)
- 미드라인에 수직으로 그려지며, Pin to COG(핀 - 파지 중심 거리)와 라이트닝 아크의 교차점을 통과합니다.
- 이 선은 브릿지 라인을 그릴 위치를 결정하고, 핑거 홀이 놓일 위치를 지정합니다.
핑거 홀 드릴링
- 핑거 홀은 반드시 미드라인 바로 위에 드릴링해야 합니다.
- 31/32인치 드릴 비트 기준으로 별도의 상하 오프셋 (Reverse/Forward Pitch) 없이 드릴 비트의 중심이 미드라인과 정확히 일치하도록 합니다.
- 날카로운 그리스 펜슬을 사용하여 드릴 비트의 중심을 미드라인에 정확하게 표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핑거 홀 위치가 조금이라도 어긋나면 레이아웃 전체가 틀어질 수 있습니다.
- 미드라인을 그린 후, 핑거 홀이 들어갈 위치에 원을 그려 표시하여 드릴링 시 중심을 정확히 파악하도록 합니다.
- 핑거 깊이는 원하는 볼 반응과 Pin to COG(핀 - 파지 중심 거리)에 따라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
다양한 볼 모션을 위한 2LS 레이아웃 예시
지금까지 설명드린 2LS를 이용한 일반적인 레이아웃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 강한 드릴링 (3 1/2 x 4 x 6 1/2 - 2LS):
- 최대 플레어와 전체적인 훅을 생성합니다.
- 레인 앞쪽에서 강한 마찰력을 필요로 하는 상황 (새 볼)에 적합합니다.
- 기존 원핸드 볼러의 레이아웃과는 확연히 다른 형태를 보입니다.
- 중간 드릴링 (4 3/4 x 4 1/2 x 4 1/2 - 2LS):
- 적당한 플레어를 제공하며, 파워와 컨트롤의 균형을 갖춘 다재다능한 레이아웃입니다.
- 레인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어, 새 볼과 마른 레인 모두에 활용 가능합니다.
- 최근 PBA 투어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는 투핸드 볼러들의 레이아웃과 유사한 형태를 보입니다.
- 약한 드릴링 (5 1/2 x 5 x 2 - 2LS):
- 플레어가 적고 레인 앞쪽을 깨끗하게 통과하며, 백엔드에서 각을 만들기에 용이합니다.
- 마른 레인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 기존 원핸드 볼러의 약한 드릴링과 유사하지만, 핑거 홀 위치가 달라 볼의 다이나믹스에 차이가 있습니다.
2LS 레이아웃, 성공적인 적용을 위한 추가 팁!
- 투핸드 볼러는 덤(엄지덤) 홀이 없어 PAP의 일관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2LS 레이아웃으로 지공 시 더욱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 위의 사진처럼 약간만 미드라인이 기울어도 다르게 지공이 될 수 있습니다.
- 핑거 홀만으로는 정확한 선을 그리기 어려우므로, 핑거 홀 위치를 위아래로 정렬한 후 선을 그리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볼러 스스로도 매 투구 시 손의 위치와 손바닥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볼의 손바닥 면을 표시하여 볼러가 항상 같은 위치에 손바닥이 위치하도록 하면 일관성에 도움이 됩니다.
마무리하며
스톰의 2LS 레이아웃 시스템은 늘어나는 투핸드 덤리스 볼러들에게 최적화된 볼 모션을 제공하기 위한 솔루션입니다.
이 시스템을 통해 투핸드 덤리스 볼러들은 자신에게 맞도록 지공하고 볼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 글이 여러분의 볼링 라이프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로 문의해주세요!
함께 즐거운 볼링 생활 만들어가요!
참고자료
Storm | 2LS Layout System 공식 유튜브 자료
'생활&취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볼링 엄지 타이밍 맞추는 지공법과 집에서 엄지 교체하기 - 스위치, IT, 오발 덤 (39) | 2024.07.13 |
---|---|
볼링 공의 성능을 100% 활용하는 PAP 측정법 - 전문 도구 없이 반창고만 가지고 PAP 찾기 (24) | 2024.06.29 |
은평 롯데몰 롯데시네마에서 인사이드 아웃 2보고 즐기는 방법 ( 주차, 포토카드, 문화누리 카드 할인) (3) | 2024.06.24 |
픽사(Pixar)가 만들고 디즈니가 배급한 명작 [ 인사이드 아웃2 ] 영화 감상 후기 - 직장인과 가장의 시선에서 (3) | 2024.06.23 |
볼링공 아무리 뚫어도 점수와 에버 안 오르는 이유 - 지공을 알아야 마이볼의 성능을 최대한 사용하는 거에요 (Storm 핀 버퍼 레이아웃) (2) | 2024.06.08 |